명리학 입문

오행의 특성

명리학 생도 2024. 3. 11. 22:18

<안녕, 사주 명리> 블로그 운영자이자 <나의 사주 명리>의 저자이신 현묘 님의 명리학 입문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강의에서 배운 것들 그리고 마음에 와닿았던 것들을 정리해 보고자 글을 씁니다.

 

**제가 올리는 글에서 명리학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언급하는 모든 과학적 근거는 ‘현묘’님께서 예시로 드신 것이며, 이것은 기존 명리학에서 수용하고 있는 부분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세 번째 강의 중 2편

 

▶오행 목(木)의 특성 

인자하고 어질며, 인간에 대한 따뜻한 마음을 품고 있습니다. 이상주의적인 성향이 있고, 생동감 있고 진취적이며 기획에 관심이 많습니다. 

목(木)의 키워드
솟아오름: 달걀을 깨고 나오는 힘, 땅을 뚫고 나오는 씨앗의 힘, 변혁의 힘
• 봄: 희망, 생동감, 젊음, 밝음, 봄밤의 환희(설래임)
• 아침: 시작, 새로움, 맑음
• 청색: 새싹의 색깔(연두색)
• 새싹: 어린이, 이제 막 자라남, 가능성, 순수함
• 인(仁): 인간애, 어짊, 약자를 보살핌, 조건 없이 주는 힘
• 신체 기관: 척추, 뼈, 소근육, 간, 쓸개, 췌장
• 물상: 산, 나무, 식물
• 포인트: 공생, 사회적 존재, 인문학

 

항산화 작용과 오행 목(木)

항산화(抗酸化)란 산화를 방지한다는 뜻입니다. 세포의 산화, 즉 산소와의 결합은 노화를 의미합니다. 주로 신맛을 지닌 베리(berry) 종류, 오렌지 등이 항산화 작용으로 노화 방지에 좋습니다. 신맛은 목(木)에 해당하므로 노화 방지에 목의 기운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봄의 기운, 어린이의 기운, 생동감, 순수함의 기운인 목(木)의 기운을 이용해 젊음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산을 오르거나 항산화 효과가 있는 음식, 과일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행 화(火)의 특성 

자신을 드러내려는 성향이 강하며 감정적이고 즉흥적입니다. 인사를 잘하며, 자신의 영향력을 증명하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화(火)의 키워드
• 확장: 한 번에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힘, 태양, 미디어, 유튜브, 공개의 힘
• 여름: 무성한 생명력, 지치지 않고 달리는 슈퍼카, 열정, 몰두
• 점심: 진행, 도전, 밝음
• 적색: 화려한 색, 밝은 색
• 무성: 압도하는 성장 속도, 일단은 자라는 것이 목표
• 예(禮): 타인에게 자신을 드러냄, 인사, 윗사람에게 예의를 갖추고 인정받음.
• 신체 기관: 심장, 혈관, 눈 
• 물상: 태양, 불, 조명, 인터넷, 전기, 화면, 사막, 눈에 보이는 것
• 포인트: 자기표현, IT, 영상, 허무

 

▶알칼로이드와 오행 화(火) 

쓴맛을 좌우하는 성분은 알칼로이드(Alkaloid)라는 성분입니다.

자연물에 존재하며 주로 독성을 가지고 있고, 고대부터 의약품이나 마약류로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코카인, 카페인(커피), 니코틴(담배), 모르핀, 퀴닌(말라리아약)이 있습니다.

그리고 동물의 몸속에도 이 알칼로이드 성분이 있는데, 아드레날린이라는 것으로 불립니다. 인간의 고양된 감정(흥분)과 관련된 호르몬입니다. 쓴맛은 화(火)에 해당하므로 흥분으로 인한 환희와 치유에 화의 기운이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강한 쓴맛이 나는 커피나 담배(마) 등은 오행 화(火)에 해당하는 것들입니다. 

 

▶오행 토(土)의 특성 

포용력이 있으며, 진중하고 균형감각이 있습니다. 중심을 지켜 믿음을 주며, 희생과 봉사를 통해 주변인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줍니다.

토(土)의 키워드
• 아우름: 멈춰서서 품는 힘, 지키는 힘, 기반이 되는 힘, 중도의 힘, 과거를 중시, 보수
• 여름~가을: 중재, 멈춤, 중년, 푸근함. 포용력
• 오후: 새로운 전환, 잠시 멈춤
• 황색: 명도와 채도가 중간인 색
• 유지: 열매 맺을 준비를 하는 단계, 포용과 인내
• 신(信): 예측 가능성, 흔들리지 않음, 한자리를 지킴, 감정의 동요 없음. 모두에게 공정함
• 신체 기관: 피부(여드름, 아토피), 위, 소화기관
• 물상: 땅, 흙, 지평선
• 포인트: 활동(영향력)이 미치는 범위, 가족과 친구

 

▶탄수화물과 오행 토(土) 

단맛은 포도당에서 비롯되며, 포도당(글루코스)은 우리 몸의 필수 요소로써, 주로 곡물에서 비롯됩니다. 단 음식은 뇌에 즉각 에너지를 공급해 뇌가 받는 스트레스를 진정시킵니다. 또한 단맛은 뇌 속 쾌락 중추를 자극하여 세로토닌과 도파민이 분비되고, 이것은 심리적 안정감과 행복감을 주어 스트레스를 일시적으로 줄여줍니다. 쌀과 밀, 꿀, 조청, 설탕 등이 오행 토(土)에 속하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단맛과 스트레스 해소 

사주에 수(水) 기운이 과도할 때 수면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생각과 망상, 불안, 걱정으로 잠을 자지 못하고 불규칙한 생활을 할 경우, 토(土)에 해당하는 단맛이 나는 음식을 먹음으로써 넘치는 수 기운을 토로 제어하고 마음에 안정을 찾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포도당과 인슐린 그리고 목극토(木剋土) 

당뇨병은 혈액 내의 포도당 수치가 과도하게 올라가 여러 징후를 일으키는 질병입니다.

명리학에서는 오행 토(土)의 과다로 인해 발병한다고 봅니다. 우리 몸의 혈액 내의 포도당 수치가 올라가면 인슐린이 분비되는데,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변환시켜 세포 내로 흡수시킵니다. 여기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신체 기관이 췌장입니다. 췌장은 오행 목(木)에 해당하는 곳으로 토(土)가 과다할 때 목이 토를 다스려 균형을 이루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당뇨병이 있으신 분에게 오행 목에 해당하는 등산 등을 통해 나무와 숲을 자주 접하기를 권장하기도 합니다.

 

▶오행 금(金)의 특성 

주체성이 강하고, 강단이 있습니다. 자신의 몸과 마음을 탄탄하게 유지하는 것에 관심이 많으며, 경쟁적입니다.

금(金)의 키워드
• 수렴: 군더더기의 제거, 잘라내는 힘, 거부하는 힘, 스스로에게 수갑을 채우는 힘, 남을 가두는 힘, 절제, 강단의 힘
• 가을: 냉정, 차가움, 스산함, 가을밤의 쓸쓸함
• 저녁: 정리, 버리고 모음, 깔끔함
• 흰색: 색채를 잃어버린 색, 감정이 없음
• 열매 맺음: 결실, 실제로 확인, 소유, 내 것과 남의 것을 가르는 것
• 의(義): 의리, 약속을 지키다, 모두에게 칼을 들이대는 힘
• 신체 기관: 폐, 기관지, 대장
• 물상: 바위, 칼
• 포인트: 약속, 질서, 구분

 

매운맛은 엄밀히 말하면 미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통각, 즉 통증 감각으로 실재하는 맛이 아니라 촉각입니다. 금(金)을 칼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그런 금의 특성이 나타난 것으로 유추해 봅니다.

 

▶요산과 통풍 그리고 금극목(金剋木) 

통풍은 육류, 해산물, 맥주 등의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인데, 요산(퓨린계열)의 과다로 인해 발생합니다. 질소 화합물로서 주로 동물의 간에서 고농도로 발견됩니다.  이런 통풍에 효과적인 성분은 후추의 매운맛을 담당하는 피페린(piperine), 그리고 유제품이 있습니다. 오행 금(金)에 해당하는 피페린과 유제품이 목의 기운인 요산의 과도함을 다스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행 수(水)의 특성 

감성적이고, 독창적이며 유연하고 똑똑합니다. 수용적인 태도로 상대방을 편안하게 만듭니다.

수(水)의 키워드
• 사라짐: 정체를 숨기고 말을 아끼는 힘, 눈을 감고 멀리 보는 힘(통찰력)
• 겨울: 허무, 침잠, 늙음, 어두움, 한겨울의 공포
• 밤: 끝, 사라짐, 수면, 휴식, 생성, 성적 욕망
• 흑색: 밤, 어둠, 끝
• 씨앗: 모든 것을 끌어안고 있음, 먼 미래의 가능성, 눈에 보이지 않음
• 지(智): 통찰, 현명, 하나를 보고 둘을 앎
• 신체 기관: 뇌, 정신, 생식기(남녀), 방광, 신장
• 물상: 바다, 물, 강물, 음악, 해외
• 포인트: 정신력, 해외행, 술(성, 중독, 욕망), 음악, 우울증

 

▶염화나트륨과 신체 

전해질은 에너지를 전달해 주는 작용을 하는 물질입니다. 일반적으로 소금으로 불리는 염화나트륨은 인체의 대표적인 전해질입니다. 유통과 교류, 흐름을 나타내는 오행 수(水)에 해당하는 특성입니다.

그리고 염화나트륨(소금)의 섭취는 동물의 생식 활동과 큰 연관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염소의 번식률이 떨어지는 경우 사료에 소금을 넣어서 번식을 활성화한다는 것입니다.

저염식이(低鹽食餌)는 성욕, 임신 가능성을 낮추고, 유아 체중 감소와 발기부전, 피로, 수면장애 등을 증가시키며, 여성의 초경을 늦춘다는 논문도 있습니다. 또한 선천성 부신 문제로 인해 소모성 신장을 가진 여성의 경우, 다시 말해 신장 기능이 좋지 않을 때 임신율과 출산율이 낮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오행 수(水)가 신장과 생식 작용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수면과 오행 수 

수(水)의 시간인 밤에 수면을 취해야 수 기운이 보충되고 인간의 정신력 역시 회복이 가능합니다.

 

*수면시간과 치매 발생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

[치매 예방을 위해 수면시간 딱 정해드립니다.(교육하는 의사! 이동환 TV)]

https://www.youtube.com/watch?v=WSR24I3dxeo

 

 

*수면이 뇌와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Sleep Is Your Superpower | Matt Walker | TED - (자막을 켜고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MuIMqhT8DM

 

'명리학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 살펴보기 1  (0) 2024.03.17
오행의 상생상극  (2) 2024.03.16
음양과 오행  (0) 2024.03.09
명리학의 대전제와 태동  (3) 2024.03.04
명리학과 함께 시작하는 2024년  (0) 2024.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