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사주 명리] 블로그의 운영자이자 [나의 사주 명리]의 저자이신 현묘 님의 명리학 입문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강의에서 배운 것들 그리고 마음에 와닿았던 것들 일부를 정리해 보고자 글을 씁니다.
▣ 여덟 번째 강의 중 1편
▶간지(干支)의 이중적 구조
간지는 천간(天干) 10개와 지지(地支) 12개가 결합한 조합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우주 자체가 ‘대립과 융화’라는 이중성에 바탕을 두고 있기에 인간에게 부여되는 기운도 이중적인 체계로 파악했을 때 본질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인간에게 부여된 우주의 기운이 이중적인 구조이기에 인간에게 부여된 기운을 최대한 잘 표현하기 위해서 천간과 지지라는 이중 체계를 사용하여 60개의 주기성을 나타내는 간지가 탄생하였습니다.
▶천간과 지지 그리고 음과 양
▶하나의 간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자리가 어디일까?
천간에게 가장 가까운 자리는 지지이고, 지지에게 가장 가까운 자리는 천간입니다. 왜냐하면 서로가 “짝꿍”이기 때문입니다. 양인 천간은 음의 짝꿍인 지지가 있어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음인 지지는 양의 짝꿍인 천간이 있어서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천간은 바로 아래 있는 지지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그리고 하나의 지지는 바로 위에 있는 천간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운(運)의 해석
대운(大運), 세운(歲運), 월운, 일운의 해석에서 천간이 양, 지지가 음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을 때 운의 천간이 추동력을 가지고 있고, 운의 지지가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간의 기운이 성급하게 일찍 작용하고, 지지의 기운이 뒤늦게 등장해 마무리한다고 보면, 10년간의 운인 대운의 경우 천간의 기운을 초반의 5년, 지지의 기운을 후반의 5년으로 해석합니다. 세운(1년간의 운)과 월운, 일운도 같은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가짜 사주와 진짜 사주
위 두 개의 사주명식 중 맞는 것과 틀린 것이 있습니다. 어떤 것이 진짜이고 어떤 것이 가짜일까요?
하나의 연(年)에는 12개의 월(月)만 올 수 있습니다. 월은 연을 따라다닙니다. 연은 총 60년의 주기로 움직이며, 월은 총 60개월의 주기로 움직입니다. 즉 60개월은 5년이며, 월이 간지를 한 바퀴 도는 단위인 5년이 12번 지나면 딱 60년이 됩니다. 월의 총 주기가 연의 총주기와 정확하게 겹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임인년에 올 수 있는 월은 항상 고정되어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만 올 수 있습니다.
또한 하나의 일(日)에는 12개의 시(時)만 올 수 있습니다. 시는 항상 일을 따라다닙니다. 일은 총 60일의 주기로 움직이며, 시는 총 120시간의 주기로 움직입니다. 시가 간지를 한 바퀴 도는 단위인 5일이 12번 지나면 딱 60일이 됩니다. 시의 총주기가 일의 총주기와 정확하게 겹칩니다. 따라서 정유일에 올 수 있는 시는 항상 고정되며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만 올 수 있습니다.
그럼 연주(年柱)와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 중 하나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면 무엇을 골라야 할까요?
답은 연과 일입니다. 월과 시는 연과 일에 부속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사주의 경우의 수를 따져 보면 (연주 60) * (월주 12) * (일주 60) * (시주 12) = 518,400개가 나오며, 한국에서 같은 사주를 가진 사람의 수는 대략 100명 내외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명리학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간과 십신 (2) | 2024.04.21 |
---|---|
年과 日의 시작 기준 + 명리학 발전사 (0) | 2024.04.16 |
지장간과 함께 보는 지지의 특성 (1) | 2024.04.08 |
지지 살펴보기2 (0) | 2024.04.01 |
지지 살펴보기1 (0) | 2024.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