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명리와 함께

십신 : 편재와 정재 본문

명리학 입문

십신 : 편재와 정재

명리학 생도 2024. 5. 9. 23:44

[안녕, 사주 명리] 블로그의 운영자이자 [나의 사주 명리]의 저자이신 현묘 님의 명리학 입문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강의에서 배운 것들 그리고 마음에 와닿았던 것들 일부를 정리해 보고자 글을 씁니다.

 

▣ 열한 번째 강의 중 1편

 

십신(十神)은 사주의 여덟 글자 가운데 가장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일간(日干)과 다른 간지와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방법론입니다. 그리고 십신의 또 다른 표현으로 십성(十星), 육신(六神), 육친(六親)이라는 명칭이 있습니다.

 

십신을 크게 5개로 구분하여 비겁, 식상, 재성, 관성, 인성으로 부르기도 하며,

여기에 다시 음양을 적용하면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의 10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편재 살펴보기 

 

편재는 눈앞에 아름답고 찬란한 목표를 낚아채고자 하는 것으로 강한 성취욕과 목적의식, 빠른 계산과 판단력으로 실행하는 힘입니다.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하기에 참을성이 부족하지만, 활동 범위가 넓고 추진력이 좋아 일 처리가 신속하고 마무리 능력도 좋습니다. 편재의 가장 큰 특징은 공간과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것입니다. 머릿속에 지도가 있는 것처럼 전체를 조망(眺望)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것은 감정을 배제하고 효율과 가치에 집중하는 객관적인 시선을 가졌음을 의미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중심적인 통제력을 발휘하여 사물을 유형별로 분류 및 종합하고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술과 지식을 실생활에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편재는 큰 재물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나의 소유가 아닌 공공재나 투자금, 대출금과 같이 내가 활용할 수 있는 것을 뜻합니다. 불규칙적인 수입이나 횡재 또는 투기와도 연관이 있지만, 사회와 공공을 위해 기꺼이 나누는 공익성 역시 편재의 모습입니다. 또한 편재는 명랑하고 쾌활하며 사교성이 좋아 대인관계가 넓고 여행이나 파티, 오락과 같이 몸을 소모하며 즐거움을 좇는 활동을 많이 하는 성향도 있습니다.

 

 

 

편재가 운에서 올 때는 갑자기 활동 범위가 넓어지고 분주해지며 재물에 대한 관심이 커져 일확천금에 대한 욕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성과의 인연이 많아지고, 부모님으로부터 독립을 할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부정적일 경우 승부욕과 투기심이 강해지고 재물에 대한 과도한 욕심이 생겨 많은 실패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예쁘고 멋진 이성은 일단 먼저 갖고 싶은 욕망이 강해져 삶이 흔들리고 어려움에 빠질 수 있으며, 계획과 꿈만 많고 정작 실천은 하지 못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재 살펴보기 

 

정재는 작은 목표를 세워 매일매일 꾸준히 실천하고 노력하는 것으로 삶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힘입니다. 조심성이 많아 위험을 무릅쓰는 것을 몹시 싫어하고 허황된 꿈을 꾸지 않습니다.  알뜰하고 검소하여 재물을 낭비하는 것을 꺼리는 탓에 씀씀이가 인색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정재는 사물과 인간을 꼼꼼하고 치밀하게 장악하는 힘으로 빈틈없이 통제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발달하여 관리자와 같은 모습을 보입니다. 계획과 준비에 철저하며 합리적이고 디테일에 강하지만, 그만큼 통제와 집착이 심해 관리받는 대상이라면 답답함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항상 그 자리에 있는 사람처럼 활동 범위가 작고 보수적인 성향도 보입니다. 정재는 내가 소유할 수 있는 재물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월급처럼 삶을 안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뜻합니다. 뛰어난 현실감각과 경제관념으로 세상을 숫자로 파악하며, 주고받는 것에 철저하고 계산적입니다. 이런 성향으로 여유와 낭만이 없는 삶의 모습이 드러나기도 하며, 안정성에 집착하는 성향으로 인해 몸을 단련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정재가 운에서 올 때는 돈과 관련된 인연이 이어지고, 지속되는 수입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직장 생활을 하거나 결혼의 기회가 올 수도 있어 꾸준하고 안정적으로 삶을 이어갈 수 있는 시기입니다. 하지만 부정적일 경우 재물과 관계에 대한 강한 욕망과 집착으로 큰 불안과 걱정에 빠져 삶의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으며, 재능 있는 여러 방면에 에너지를 쏟아 사용함으로써 한 가지 일에 몰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일 수도 합니다.

'명리학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신 : 편인과 정인  (3) 2024.05.26
십신 : 편관과 정관  (0) 2024.05.19
십신 : 식신과 상관  (4) 2024.05.01
십신 : 비견과 겁재  (0) 2024.04.30
일간과 십신  (2) 2024.04.21